(1)
인간은 네 가지의 눈을 가지고 있다^^*
육안(肉眼), 腦眼(뇌안), 心眼(심안), 靈眼(영안),
어떤 눈을 개안하느냐에 따라 사랑의 크기도 달라진다.
여기 잘 익은 사과 한 개가 있다.
보는 눈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열거해 보이겠다.
|
|
|
(2)
육안. 가장 저급한 단계에 머물러 있는 눈이다.
육안으로 사과를 바라보는 인간에게
사과는 단지 둥글고 붉은 빛깔의 음식물에 불과하다.
음식물을 먹어치우는 일이 곧 음식물을 사랑하는 일이다. ^^*
|
|
|
|
|
(3)
뇌안. 육안과 비교하면 천양지차로 진화된 눈이다.
뇌안으로 사과를 바라보는 인간은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린다.
그에게는 탐구가 곧 사랑이다.
그러나 본성에 이르지 못하고 현상에만 머물러 있다^^*
|
|
|
|
|
(4)
심안. 현상을 떠나 본성에 이른 눈이다.
심안을 가진 인간은 사과에 감동한다.
그야말로 내일 지구의 종말이 오더라도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는 인간이다.
^^*
|
|
|
|
|
(5)
영안.으로 사과를 바라보는 인간은 깨달음을 얻은 자다.
신의 본성과 우주의 본성과 자신의 본성과
사과의 본성이 하나로 보인다.
비로소 삼라만상이 사랑으로 가득 차 있음을 깨닫게 된다.
|
|
|
|
출처 : 끼있는 한량들 메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