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 덜
거덜은 조선시대 때 말(馬)을 관리하던 관청의 사복시(司僕侍)의 하인(下人)으로
귀인의 행차가 있을 때 그에 앞서가며 길을 틔우는 사람이다.
즉, 임금이나 높은 사람을 모시고 갈 때 잡인의 통행을 통제하기 위하여 이렇게 외쳐 대던 하인을 말한다.
쉬~ 물렀거라 ~ 물렀거라 ~
대감마님 행차시다.
그 시대 거덜의 흔적이 오늘날에도 종로 뒷골목 피마골(避馬谷)에 남아 있다고한다.
지체 높은 지배자의 앞에서 쉬~ 물렀거라 하며 권마성(勸馬聲)을 외치는 거덜은 단지 권마성을 외치는 데서 멈추지 않고 길거리에서 온갖 악행을 다 저질렀으며.
그래서 그 시대
고관대작들의
주요 통로였던 종로길은 백성들에게 이로 인한 고통이 이만 저만이 아니었다고 한다.
또한 높은 관리들이 지나갈 때마다 고개를 굽히며 예를 갖춰야 했고 행렬이 다 지나갈 때까지 계속 구부리고 있어야 했기 때문인데 이처럼 일일이 예를 갖추다 보면 도무지 갈길을 제 시간에 갈 수가 없었다.
하지만 예를 갖추지 않았다가는 현장에서 바로 거덜의 발길질에 치도곤(죄인들에게 치던 곤장)을 당하기 십상이
었다.
그래서 생겨난 것이 피마길(고관들의 행차를 피해가는 길)을 선택 했다.
이른바 힘없는 백성들
즉, 일반인들은 아예 구불구불하지만 지저분한 뒷골목으로 다니는 것이 차라리 마음 편했던 것이다.
피마길은 높은 사람의 행차를 피해(피할 避 말 馬) 간다는 뜻이나 사실은 그 말 앞에 따르거나 앞장서서 거들먹거리는 거덜을 피해서 간다는 것이었다.
낮은 신분이었지만 지체 높은 사람들을 직접 모시다 보니 우월감에 사로잡혀 몸을 몹시 흔들며 우쭐거리며 행세를 했다.
이 때문에 사람이 몸을 흔드는 것을 가리켜
거들먹거린다고 하고,
몹시 몸을 흔드는 말(馬)을 거덜마라고 불렀다고 한다.
거덜 얘기를 하다보니 대한민국 국회 법사위원장 정청래라는 인간이 문득
떠오른다.
가장 교만하고 염치를 모르는 범죄자 사기꾼 죄파인 민주당의 어버이 수령동지 이재명을 모시는 거덜들이 바로 개딸들을 비롯해서 정청래와 박지원 등 등 좌빨 민주당 졸개 들이 아닐까요???
사기꾼, 패륜아, 북한을 추종하는 좌빨 정치인들과, 일부 좌파언론들, 법관이기를 포기한 사법부 판사들의 부패한 악취가 천지를 뒤덮었다.
이나라의 현실이 참으로 기고만장(氣高萬丈) 하다 !!! ...
이제 국운이 다하고 말세(末世)로 가고 있는 증조라고 생각한다.
이러고도 나라가 망하지 않는다면 참으로 이상한 일이 아닐까요 ! ...
오늘도 좋은 하루 도세요.
🙆
萬 友 靑 巖
-옮김-